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CES2021] 삼성전자·네이버·카카오가 찜한 AI·자율주행 스타트업은?

네오사피엔스의 AI 아바타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1’이 온라인을 통해 개최된 가운데, 국내 인공지능(AI)·자율주행 스타트업들이 기술력을 뽐내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를 비롯해 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기업들이 육성하고 있는 스타트업들의 존재감이 두드러졌다.

14일 한국정보통신기술산업연합회(KICTA)에 따르면 올해 CES에는 국내 스타트업 180여곳이 참가했다. 작년보다는 줄었지만, 전체 345개 참가업체 가운데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AI·자동차 기술 관련해서는 각각 25개, 30개사가 이번 CES에 출전했다.

AI 스타트업인 브이터치는 CES에 ‘가상터치 패널’을 출품했다. 사용자를 딥러닝 기술로 분석해 가리키는 위치와 동작을 파악, 직접 만지지 않고 멀리서도 ‘터치’하듯 조작할 수 있는 제품이다. 기존 디스플레이 전면에 부착하던 터치패널 대신 브이터치가 개발한 가상터치 센서를 얹기만 하면 원거리 제어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코로나19 등 접촉감염 위험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데다가, 장애인이나 키가 작은 어린이도 손이 안 닿는 화면영역 전체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어 편리하다. 현재 엘리베이터, 키오스크, 자판기, 미러디스플레이 등 다수 업체들과 출시를 준비 중이다. 이 제품은 2개 부문에서 ‘CES 혁신상(Innovation Honoree)’을 수상했다.

네오사피엔스는 CES 온라인관에서 AI 연기자 서비스를 시연했다. 이 회사는 감정표현이 가능한 음성 합성 원천 기술을 통해 AI 성우 서비스 ‘타입캐스트(Typecast)’를 제공해왔다. 전문 성우들의 목소리 녹음 데이터를 기반으로 60여종 이상의 음성을 콘텐츠에 이용할 수 있다. 네오사피엔스에 따르면 문장 맥락 파악과 감정표현, 운율 조절 등 정교한 감정까지 제어한다고 한다. 지난해 사용자 수와 월별 결제는 1000% 이상 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CES 2021에서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네이버·카카오 등이 지원하는 스타트업들이 눈길을 끌었다. 올해 삼성전자는 임직원 대상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인 ‘C랩 인사이드’ 우수과제 4개를 처음 공개하고, 사외 스타트업 대상 프로그램 ‘C랩 아웃사이드’가 육성한 스타트업 17곳의 온라인 전시 참가를 돕는다고 밝혔다. 총 21개의 사내 과제와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것으로, 이는 2016년부터 CES 참가 지원을 시작한 이후 가장 많은 숫자다.

이 가운데서도 AI 스타트업들의 기술력이 돋보였다. C랩 아웃사이드에 선정된 딥핑소스는 AI 기반으로 이미지·영상 데이터 내 개인 식별 정보는 제거하고 학습에 꼭 필요한 정보만 보존하는 기술과 저작권 보호 기술을 공개했다. 플럭스플래닛은 250대의 카메라를 활용해 3D 스캐닝을 통한 실감 아바타를 생성하고 VR·AR 콘텐츠를 제작하는 기술을 전시했다. ▲의류 소재 분석에 AI를 활용해 의류 관리 최적 솔루션을 추천해주는 스캔앤다이브 ▲AI 기반 패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의류 디자인을 추천·생성해주는 디자이노블 ▲카메라를 활용한 실내 지도를 제작하는 다비오 ▲바이러스와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AI 공기청정 살균 솔루션 개발사 에스아이디허브 등도 전시에 참가했다. 이외에 삼성전자로부터 독립한 스타트업들은 혁신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기도 했다.


자율주행 분야에서는 네이버·카카오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스타트업들이 CES에 출전했다. 네이버의 기업형 액셀러레이터 ‘D2스타트업팩토리(D2SF)’에서는 모빌테크·뷰런테크놀로지·모라이 등이 CES에 이름을 올렸다. 카카오벤처스가 투자한 스타트업 중에서는 앞서 언급된 모라이와 함께 스마트레이더시스템 등이 자율주행 기술을 선보였다.

모빌테크는 정밀측위 솔루션 ‘LC-로컬라이저(LC-Localizaer)’ 기술을 개발, 혁신상을 받았다. 기존 GPS 대비 100배 이상 정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라이다 등을 기반으로 GPS 없이도 실내외에서 정확한 위치값을 산출할 수 있다는 게 강점이다. 지난해 매출 24억원을 달성한 이 스타트업은 이달 40억원 시리즈 A 투자를 성공적으로 유치했다. 뷰런테크놀로지는 자율주행 인지 알고리즘과 차별화된 실용적인 라이다 인지 소프트웨어를 자체 개발했다. 이번 CES 2021에서는 1년간 개발을 거쳐 완성한 라이다(LiDAR·레이저 기반 물체인식기술) 기반 자율주행 인지 소프트웨어 ‘뷰.원(View.One)’을 공개했다.

네이버 D2SF·카카오벤처스 등으로부터 시리즈A 투자를 유치한 모라이는 자율주행 기술을 검증하고 고도화할 수 있는 ‘풀스택(Full-stack) 시뮬레이션 솔루션’을 독자 개발했다. 현실처럼 꾸며 놓은 가상도로(디지털 트윈)에서 가상 차량·센서를 이용해 자율주행 알고리즘을 검증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이번 CES 2021에서는 새롭게 개발한 테스트 시나리오 자동생성 기술을 공개했다. 실제 교통상황 데이터를 통해 테스트 시나리오를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수만 개 시나리오를 만들어낸다고 한다.

자율주행 자동차용 레이더 스타트업인 스마트레이더시스템은 이번 CES에서 레이더 표적을 4차원 이미지로 구성하는 ‘4D 이미지 레이더’를 선보이고, 이를 활용한 ‘낙상 감지’ 데모를 시연했다. 거리·높이·깊이·속도 등을 추적할 수 있으며 300미터 밖의 물체까지 감지가 가능해 안전 자율주행을 돕는 기술이다. 방어용 드론, 무기 감지, 스마트 헬스케어 등에서도 응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출처 : 블로터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ISIR(초도품검사보고서), PPAP(양산승인절차)

PPAP는 북미자동차 업체들이 쓰는 "양산승인절차" 이다 Pen Pineapple Apple Pen ■ ISIR (Intial Sample Inspection Report) = PPAP (Product Part Approval Process) 초도품 검사 보고서(성적서) = 양산 승인 절차 수요자의 설계 사양 & 요구조건이 부품 공급자에게 정확히 이해 되었는가를 확인 공급자의 공정이 제품 요건을 맞출 수 있는가를 확인 실제 완성차 양산시 고객의 요구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해 작성되는 검사 보고서(성적서) HKMC - ISIR GM - PPAP RSM - ANPOP 자동차업체 마다 용어와 승인서류는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사용의도로 보면 다 같은 말 이다. - 제출서류 초도품 보증서 검사 협정서 검사 기준서 신뢰성 성적서 관리계획서 (CP) / 공정흐름도 PFMEA (잠재적 고장형태 & 영향분석) 재질 성적서 / Mill Sheet 등.. 약 20가지에 이른다. - 진행순서 P1 -> 검사협정 실시 (검사협정서, 검사기준서, PFMEA. 관리계획서, 2/3차 협력사 현황, 검사구 현황 등) P2 -> ISIR 진행 M단계 -> ISIR 서류를 제출 (신뢰성 시험 성적서, 재질성적서, 검사성적서, 초도품 보증서 등) * 업체별로 차이는 있을 수 있다. 초도품 보증서 / 품질협정서 / 관리계획서 / 공정흐름도 / 검사기존서 / 검사성적서 / 신뢰성 성적서 / 원재료성적서 / 도료 성분 분석 (유해물질 성적서) / 포장 사양서 / 로트 관리방안 / 공정능력지수 / 계측장비 유효성 (게이지 R&R) / FMEA / 2.3차 협력사 현황 / 검사구 현황 ... 등 출처 : ISIR & ESIR (tistory.com)

자동차 인포테인먼트의 꽃 ‘디지털 클러스터’

- 더 많은 정보를 집약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매김 일반적으로 인간이 갖고 있는 여러 감각 기관으로 획득하는 정보의 80% 이상이 시각을 통해 얻어진다고 할 정도로 오감 중 시각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자동차를 운전할 경우에도 이는 마찬가지다. 물론 운전할 때는 시각 외에도 청각이나 촉각 등의 감각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부인할 수는 없으나, 가장 중요한 감각은 누가 뭐라고 해도 시각이다. 전후좌우의 다른 차량과 보행자, 자전거 등의 도로 상황과 차량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전방과 계기판, 룸미러, 사이드 미러 등을 오가며 가장 바쁘게 움직이는 신체 기관이 바로 눈이다. 완전자율주행이 이뤄진다면 이런 바쁜 움직임에서 해방될 수 있겠지만, 그렇게 되기 전까지는 차량의 성능과 안전을 위해 계속 늘어나고 있는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그리고 항상 인터넷과 연결되면서 제공받는 다양한 정보 등 점점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 더 많은 정보를 더욱 간편하게 기존의 차량 계기판에서는 속도와 RPM 같은 간단한 수치나 경고등 정도의 정보만 표기하는 것이 기능의 전부였다. 그러나 최근들어 스마트카, 커넥티드카, 나아가 자율주행차와 같은 새로운 자동차가 등장함에 따라 점점 다양한 정보를 표시해야 할 필요가 생기고 있다. 앞차와의 거리, 보행자 인식, 차량 접근 경고와 같은 간단한 정보는 물론 자율주행, 차선 유지 보조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의 동작 상황을 표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자동차의 계기판은 이렇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화되면서 디지털 클러스터, 혹은 디지털 콕핏이라고 부르는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 가고 있다. 초기에는 안전성이 가장 우선되는 자동차에서 검증이 안된 디지털 클러스터는 위험하다는 평가도 있었지만, 현재는 다양한 안전성 테스트를 통해 안전이 검증되고 많은 차량에 적용되면서 이미 검증이 완료된 상태로 많은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자사의 차량에 이를 적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2023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