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CES 2021] 고정관념 깬 車 신기술 다 모였다.

메르세데스-벤츠 MBUX 하이퍼스크린 작동 개념도

- MBUX 하이퍼스크린,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주목

온라인으로 진행중인 올해 CES 2021에서 기존 자동차의 고정관념을 깬 핵심기술이 주목받을 전망이다.

차량 실내 대시보드의 고정관념을 깨거나, 자율주행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주행보조 기술 차별화, 새로운 헤드업 디스플레이 기술들이 올해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메르세데스-벤츠는 CES 2021에서 MBUX 하이퍼스크린을 공개했다. 올해 국내 출시될 예정인 벤츠의 럭셔리 전기 세단 EQS에 선택 사양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MBUX 하이퍼스크린은 기존 자동차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차원의 대시보드 디자인을 보여주고 있다. 운전자뿐만 아니라 탑승객의 자동차 사용 패턴을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파악해 좀 더 편안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즐길 수 있다. 디스플레이, 대시보드 소재, 실내 송풍구 등을 나뉘는 레이어가 없다는 점도 눈길을 끌 부분이다.

벤츠는 운전석에 있는 계기반 클러스터와 센터페시아에 있는 디스플레이를 하나로 연결시킨 대시보드 디자인을 현대기아차보다 더 일찍 적용해 주목을 받았다. 엔트리급 모델인 A클래스에도 이와 같은 방식을 적용시키며 자동차 실내 구성의 틀을 깼다는 평가도 있다. MBUX 하이퍼스크린은 이보다 더 진보된 개념의 구성이다. 향후 MBUX 하이퍼스크린은 벤츠의 친환경 브랜드 EQ 제품 군 차량에 순차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기존 자동차 업체들의 주행보조 시스템을 뛰어넘는 사양도 주목을 받을 전망이다. 그 시작을 알린 곳은 바로 새로운 차량 안전 브랜드 ‘페리스코프’를 공개한 GM이다.

GM 페리스코프의 주된 목적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주행보조를 통해 사고 가능성을 낮추는 것이다. 인간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안전사양을 앞으로 출시할 차량에 적용하겠다는 의지다.

GM은 페리스코프 브랜드를 통해서 다양한 차급에 주행보조 시스템을 널리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 자동차 업체들이 고안해내지 못한 기술들을 새롭게 적용할 가능성도 있다.

메리 바라 GM 회장은 12일 오후 11시(한국시각)에 진행되는 CES 2021 기조연설을 통해서 페리스코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로고 공개의 의미와 GM의 전기차 사업 가능성에 대해 언급할 예정이다.


GM은 새로운 차량 안전 브랜드 페리스코프를 통해 주행보조 성능 강화를 약속했다.
자율주행차에 들어가는 센서의 간소화도 CES 2021에서 볼 수 있는 핵심 트렌드 중 하나다. 모빌아이는 이번에 모회사 인텔과 협력해 2025년까지 라이다 시스템온칩(SoC)을 개발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씨넷 자동차 매체 로드쇼는 이같은 움직임이 라이다 센서 가격 인하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전망했다. 부피가 큰 라이다 센서가 장착된 자율주행차의 모습이 시간이 흘러 점차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의미다.

국내 업체도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주행보조 관련 기술을 공개했다.

자오스모터스 XCAT

국내 전기차 플랫폼(Automotive OS) 개발 전문기업 자오스모터스는 소프트웨어만으로 라이다의 주요 제원을 변경할 수 있는 MEMS 라이다 시스템 XCAT을 선보였다.

XCAT은 라이다의 스캔각, 분해능, 최적 스캔 거리 등을 부품 등 하드웨어 변경 없이 조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평상시에는 전체 범위를 스캔하다가 위험 물체 발견시에는 즉시 해당 물체를 집중 추적하는 능동적인 스캔이 가능한 점도 특징이다.

올해 CES에서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기술 차별화에 대한 신경전도 뚜렷할 것으로 보인다.

파나소닉은 CES 2021에서 증강현실 방식의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공개했다. 운전자의 앉은 키와 시야에 따라서 보이지 않을 수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단점을 눈동자 추적 시스템으로 보완한 것이 특징이다.

아직 파나소닉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어떤 자동차에 적용될지는 알 수 없다. 파나소닉은 미국 현지에 있는 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 업체 등과 협력하고 있는 만큼, 북미 지역에 증강현실 디스플레이를 우선 적용시킬 가능성이 높다.

눈동자 추적 시스템이 탑재된 파나소닉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연 화면

삼성과 하만은 코로나19 시대 차량 내부에서 좋아하는 가수의 콘서트 실황을 볼 수 있는 ‘L.I.V.E.(Live Interactive Virtual Experience: 라이브 인터랙티브 가상 경험)’를 선보였고, LG전자는 마그나와 함께 새로운 전기차 파워트레인 개발에 대한 계획을 전했다.

현대기아차는 올해 CES 2021에 참석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온라인을 통한 새로운 전략을 공개할 예정이다.

출처 : ZD넷코리아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ISIR(초도품검사보고서), PPAP(양산승인절차)

PPAP는 북미자동차 업체들이 쓰는 "양산승인절차" 이다 Pen Pineapple Apple Pen ■ ISIR (Intial Sample Inspection Report) = PPAP (Product Part Approval Process) 초도품 검사 보고서(성적서) = 양산 승인 절차 수요자의 설계 사양 & 요구조건이 부품 공급자에게 정확히 이해 되었는가를 확인 공급자의 공정이 제품 요건을 맞출 수 있는가를 확인 실제 완성차 양산시 고객의 요구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해 작성되는 검사 보고서(성적서) HKMC - ISIR GM - PPAP RSM - ANPOP 자동차업체 마다 용어와 승인서류는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사용의도로 보면 다 같은 말 이다. - 제출서류 초도품 보증서 검사 협정서 검사 기준서 신뢰성 성적서 관리계획서 (CP) / 공정흐름도 PFMEA (잠재적 고장형태 & 영향분석) 재질 성적서 / Mill Sheet 등.. 약 20가지에 이른다. - 진행순서 P1 -> 검사협정 실시 (검사협정서, 검사기준서, PFMEA. 관리계획서, 2/3차 협력사 현황, 검사구 현황 등) P2 -> ISIR 진행 M단계 -> ISIR 서류를 제출 (신뢰성 시험 성적서, 재질성적서, 검사성적서, 초도품 보증서 등) * 업체별로 차이는 있을 수 있다. 초도품 보증서 / 품질협정서 / 관리계획서 / 공정흐름도 / 검사기존서 / 검사성적서 / 신뢰성 성적서 / 원재료성적서 / 도료 성분 분석 (유해물질 성적서) / 포장 사양서 / 로트 관리방안 / 공정능력지수 / 계측장비 유효성 (게이지 R&R) / FMEA / 2.3차 협력사 현황 / 검사구 현황 ... 등 출처 : ISIR & ESIR (tistory.com)

자동차 인포테인먼트의 꽃 ‘디지털 클러스터’

- 더 많은 정보를 집약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매김 일반적으로 인간이 갖고 있는 여러 감각 기관으로 획득하는 정보의 80% 이상이 시각을 통해 얻어진다고 할 정도로 오감 중 시각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자동차를 운전할 경우에도 이는 마찬가지다. 물론 운전할 때는 시각 외에도 청각이나 촉각 등의 감각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부인할 수는 없으나, 가장 중요한 감각은 누가 뭐라고 해도 시각이다. 전후좌우의 다른 차량과 보행자, 자전거 등의 도로 상황과 차량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전방과 계기판, 룸미러, 사이드 미러 등을 오가며 가장 바쁘게 움직이는 신체 기관이 바로 눈이다. 완전자율주행이 이뤄진다면 이런 바쁜 움직임에서 해방될 수 있겠지만, 그렇게 되기 전까지는 차량의 성능과 안전을 위해 계속 늘어나고 있는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그리고 항상 인터넷과 연결되면서 제공받는 다양한 정보 등 점점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 더 많은 정보를 더욱 간편하게 기존의 차량 계기판에서는 속도와 RPM 같은 간단한 수치나 경고등 정도의 정보만 표기하는 것이 기능의 전부였다. 그러나 최근들어 스마트카, 커넥티드카, 나아가 자율주행차와 같은 새로운 자동차가 등장함에 따라 점점 다양한 정보를 표시해야 할 필요가 생기고 있다. 앞차와의 거리, 보행자 인식, 차량 접근 경고와 같은 간단한 정보는 물론 자율주행, 차선 유지 보조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의 동작 상황을 표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자동차의 계기판은 이렇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화되면서 디지털 클러스터, 혹은 디지털 콕핏이라고 부르는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 가고 있다. 초기에는 안전성이 가장 우선되는 자동차에서 검증이 안된 디지털 클러스터는 위험하다는 평가도 있었지만, 현재는 다양한 안전성 테스트를 통해 안전이 검증되고 많은 차량에 적용되면서 이미 검증이 완료된 상태로 많은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자사의 차량에 이를 적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2023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