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현대-전기차, 전용플랫폼 EGMP…테슬라 추격가능?


- E-GMP, 배터리 바닥에 까는 '스케이트보드' 플랫폼 공개
- 현대(아이오닉) NE, 기아 CV 내년출시
- 800V 전압 '차별화' 지점, 18분 80% 충전, 완충시 500km 주행
- 테슬라 10년 전 기술에 토대…배터리데이 '플랫폼 전환' 발표

현대자동차그룹이 심혈을 기울여 개발한 순수 전기차(BEV) 전용 플랫폼(E-GMP)을 2020년 12월 2일 공개했다.

E-GMP는 '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의 약자로 2021년부터 생산되는 현대차그룹(현대차-제네시스-아이오닉, 기아차)의 BEV 차량들에 공통 적용되는 차체의 뼈대(chassis)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모듈에 기반을 둔다. 다양한 차종에 공히 적용되는 표준 섀시이기 때문에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핵심 부품이다.

경제성뿐만 아니라 성능을 위해서도 전용 플랫폼 개발은 필수적이다. 배터리 적재량과 관련된 주행거리, 충전 속도 등 EV의 핵심 기술뿐 아니라, 차량의 성능을 위해서도 신형 플랫폼이 주효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편으로 E-GMP의 구조는 테슬라의 '스케이트보드형(形)' 섀시를 토대로 한다. 그런데 테슬라는 지난 배터리데이 행사 때 이 구조의 변형 시사를 한 바 있다.

전기차 분야에서 리더인 테슬라와 추격자인 현대차 등 내연기관 자동차 회사들 사이의 기술 격차가 있다. 이 격차를 좁히기 위해 새 플랫폼을 만들자, 테슬라는 또 다시 플랫폼을 바꾸겠다며 한걸음 더 거리를 벌인 격이라 향후 힘겨운 추격전이 예상된다.


- 내년부터 테슬라 '뺨치는' 국산 EV-SUV‧세단 돌아다닌다

'스케이트보드' 구조의 골자는 바닥에 배터리팩을 까는 데 있다. 현대차는 납작한 파우치 형태의 배터리셀을 사용한다.

'보드'에 해당하는 차량 밑바닥에 배터리를 깔고 앞뒤 바퀴 축에 모터를 장착한다. 이 모터가 엔진과 변속기를 대체하고, 연료통이 필요 없어지기 때문에 공간이 넓어진다. 통상적인 트렁크 외에 차량 전면부에 보닛에 '프렁크(front-trunk)'라는 별도의 적재 공간이 추가된다.



이 같은 형상의 섀시에 외형인 철판을 얹으면 차체가 완성되는 방식이다. 섀시가 모듈 형태로 작동하기 때문에 하나의 모듈을 기반으로 여러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부품의 가짓수가 줄어들고 제작과정이 단순해지며, 다양한 차종을 빠른 시간 안에 개발, 생산할 수 있다.

현대차그룹은 2025년까지 BEV 11종을 포함해 23종의 친환경차를 선보이고, 글로벌 기준 연 100만대 판매 계획을 세우고 있다.

그간 현대차그룹은 내연기관 플랫폼에 전기모터와 배터리를 탑재하는 방식으로 EV를 생산해왔다. 코나EV, 니로EV 등이 그 사례다.

하지만 내년 출시 예정인 현대차의 신형 전기차 '아이오닉5(NE)'를 비롯해 새로 등장하는 전기차 모델에 E-GMP가 적용되면서 전기차 고유의 특성과 장점이 더욱 강화된다.

현대 측의 발표에 따르면 E-GMP가 제로백(0~100㎞/h 가속시간) 3.5초, 최고 속도 260km/h, 최대 출력 600마력까지 지원한다.


- 800V 전압시스템, 테슬라 400V와 '차별화'

충전시스템을 800V(기존 400V)로 끌어올린 것이 테슬라와 차별화한 지점이다. 전압 상승과 고전류를 받아들이는 섀시를 통해 충전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포석이다.

급속충전시 18분 내 배터리의 80%까지 충전이 가능하고, 5분 충전으로 100km를 주행할 수 있다고 한다. 1회 완충 시 최대 주행 가능 거리 역시 500㎞ 이상을 구현해냈다고 했다.

기존 EV들이 400V시스템인 점을 감안해 별도의 시설 없이 400V와 800V 모두 충전이 가능하게 했고, 특허를 신청했다. 또 전기차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보조 배터리 역할을 할 수 있는 'V2L(Vehicle to Load)' 기술을 적용했다.

지금까지의 전기차가 외부에서 차량 내부로의 단방향 전기 충전만 가능했지만 V2L 기술이 적용된 E-GMP 기반 전기차는 전력을 빼서 쓰는 것도 가능하다. 17평형 에어컨과 55인치 TV를 동시에 약 24시간 가동할 수 있는 수준이다.


국산 플랫폼이 개발됨에 따라 테슬라에 대한 추격전이 본격화했다. 그러나 플랫폼만으로 테슬라와 같은 수준의 EV가 되는 것은 아니다.

테슬라는 기존 플랫폼을 2009년 모델S를 발표하며 공개했고, 출시연도는 2012년이다. 지금까지 수많은 전기차를 판매하며 10년 가까이 관련 데이터를 축적해왔다.

이 같은 데이터를 토대로 플랫폼을 바꾸겠다는 수정작업 착수를 이미 선언한 상태다. 배터리를 바닥에 깔고, 그 위에 차체를 얹는 방식으로는 배터리 용량의 확대와 효율증가에 한계가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테슬라는 배터리팩과 차체를 하나의 뼈대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 출시 준비 중이다. 이를 위해 원통형 배터리의 크기를 키워 강성을 부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대차그룹을 포함해 벤츠, BMW, 아우디-폭스바겐, 포르쉐 등 전용 플랫폼을 막 적용하기 시작한 기존 내연기관 완성차 업체들이 EV 분야에서 테슬라와의 격차를 좁히기 위한 경쟁은 이제 막 시작됐다.

출처 : 노컷뉴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ISIR(초도품검사보고서), PPAP(양산승인절차)

PPAP는 북미자동차 업체들이 쓰는 "양산승인절차" 이다 Pen Pineapple Apple Pen ■ ISIR (Intial Sample Inspection Report) = PPAP (Product Part Approval Process) 초도품 검사 보고서(성적서) = 양산 승인 절차 수요자의 설계 사양 & 요구조건이 부품 공급자에게 정확히 이해 되었는가를 확인 공급자의 공정이 제품 요건을 맞출 수 있는가를 확인 실제 완성차 양산시 고객의 요구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해 작성되는 검사 보고서(성적서) HKMC - ISIR GM - PPAP RSM - ANPOP 자동차업체 마다 용어와 승인서류는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사용의도로 보면 다 같은 말 이다. - 제출서류 초도품 보증서 검사 협정서 검사 기준서 신뢰성 성적서 관리계획서 (CP) / 공정흐름도 PFMEA (잠재적 고장형태 & 영향분석) 재질 성적서 / Mill Sheet 등.. 약 20가지에 이른다. - 진행순서 P1 -> 검사협정 실시 (검사협정서, 검사기준서, PFMEA. 관리계획서, 2/3차 협력사 현황, 검사구 현황 등) P2 -> ISIR 진행 M단계 -> ISIR 서류를 제출 (신뢰성 시험 성적서, 재질성적서, 검사성적서, 초도품 보증서 등) * 업체별로 차이는 있을 수 있다. 초도품 보증서 / 품질협정서 / 관리계획서 / 공정흐름도 / 검사기존서 / 검사성적서 / 신뢰성 성적서 / 원재료성적서 / 도료 성분 분석 (유해물질 성적서) / 포장 사양서 / 로트 관리방안 / 공정능력지수 / 계측장비 유효성 (게이지 R&R) / FMEA / 2.3차 협력사 현황 / 검사구 현황 ... 등 출처 : ISIR & ESIR (tistory.com)

자동차 인포테인먼트의 꽃 ‘디지털 클러스터’

- 더 많은 정보를 집약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매김 일반적으로 인간이 갖고 있는 여러 감각 기관으로 획득하는 정보의 80% 이상이 시각을 통해 얻어진다고 할 정도로 오감 중 시각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자동차를 운전할 경우에도 이는 마찬가지다. 물론 운전할 때는 시각 외에도 청각이나 촉각 등의 감각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부인할 수는 없으나, 가장 중요한 감각은 누가 뭐라고 해도 시각이다. 전후좌우의 다른 차량과 보행자, 자전거 등의 도로 상황과 차량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전방과 계기판, 룸미러, 사이드 미러 등을 오가며 가장 바쁘게 움직이는 신체 기관이 바로 눈이다. 완전자율주행이 이뤄진다면 이런 바쁜 움직임에서 해방될 수 있겠지만, 그렇게 되기 전까지는 차량의 성능과 안전을 위해 계속 늘어나고 있는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그리고 항상 인터넷과 연결되면서 제공받는 다양한 정보 등 점점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 더 많은 정보를 더욱 간편하게 기존의 차량 계기판에서는 속도와 RPM 같은 간단한 수치나 경고등 정도의 정보만 표기하는 것이 기능의 전부였다. 그러나 최근들어 스마트카, 커넥티드카, 나아가 자율주행차와 같은 새로운 자동차가 등장함에 따라 점점 다양한 정보를 표시해야 할 필요가 생기고 있다. 앞차와의 거리, 보행자 인식, 차량 접근 경고와 같은 간단한 정보는 물론 자율주행, 차선 유지 보조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의 동작 상황을 표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자동차의 계기판은 이렇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화되면서 디지털 클러스터, 혹은 디지털 콕핏이라고 부르는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 가고 있다. 초기에는 안전성이 가장 우선되는 자동차에서 검증이 안된 디지털 클러스터는 위험하다는 평가도 있었지만, 현재는 다양한 안전성 테스트를 통해 안전이 검증되고 많은 차량에 적용되면서 이미 검증이 완료된 상태로 많은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자사의 차량에 이를 적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2023년에...